맨위로가기

불신임 결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신임 결의는 의회가 정부에 대한 불신임을 표명하여 정부를 교체하는 제도이다. 영국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주로 사용된다. 불신임 투표는 정부의 총사퇴 또는 의회 해산 및 총선거를 초래할 수 있으며, 국가별로 요건과 절차가 다르다. 이원집정부제에서는 총리 및 내각 해임에 사용되며, 대통령제에서는 탄핵과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대한민국 국회는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에 대한 해임 건의를 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스트민스터 체제 - 야당
    야당은 의회 내에서 정부를 구성하지 않은 정당을 의미하며,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를 통해 권력 균형을 유지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 웨스트민스터 체제 - 재가 (입헌군주제)
    재가란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군주 또는 대리인이 의회 통과 법안에 서명하여 법률로 성립시키는 행위로, 현대에는 형식적 절차이지만 법률 제정 과정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불신임 결의
개요
종류정치적 의사결정
목적권한을 가진 자의 직책 유지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결정
대상고위 공직자, 정부, 또는 내각
방법투표 또는 공식적인 의결 절차를 통해 표현
효력해당 인물이나 정부가 사임해야 할 수 있음
주요 특징
정치적 도구민주주의 국가에서 주요한 견제와 균형의 메커니즘
비판정치적 불안정이나 권력 남용의 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
국가별 용어
영어Motion of no confidence
일본어不信任議決 (후신닌 기케쓰)
한국어불신임 결의
불신임 결의
의미의회나 의결기관이 정부나 특정 공직자에 대해 신뢰를 철회하는 것
발의의원이나 의결 기관 구성원의 제안으로 시작
투표제안된 불신임 결의안에 대한 의원들의 투표
통과불신임 결의안이 통과되면 정부 또는 해당 공직자는 사임해야 함
결과정부 교체, 조기 선거 실시, 또는 관련 공직자의 사임
역사 및 사례
역사민주주의 의회 정치에서 오랜 역사를 가짐
사례여러 국가에서 정부나 특정 공직자를 사퇴시키는 데 사용됨
일본일본에서는 내각불신임결의가 있으며, 내각총리대신을 해임할 수 있음
대한민국대한민국 국회에서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을 해임할 수 있음.
관련 개념
탄핵불신임 결의와 유사하지만, 좀 더 중대한 위법 행위에 대한 절차
내각불신임결의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임을 표현하는 결의
의회 해산정부 불신임으로 인해 의회가 해산되고, 새로운 선거가 실시되는 경우
추가 정보
국제적 다양성각 국가의 정치 체제와 법률에 따라 불신임 결의의 절차와 효력은 다를 수 있음
정치적 영향불신임 결의는 정치적 안정과 정부의 정책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 역사적 배경

최초의 불신임 투표는 1782년 3월에 있었다. 전년 10월 요크타운 전투에서 영국군이 패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영국 의회는 "현 정부에 더 이상 신뢰를 두지 못한다"라고 의결했다.[73] 이에 영국 총리 노스 경은 조지 3세에게 사임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헌법 관례를 만든 것은 아니었다. 최초의 공식적인 불신임 투표로 여겨지지만, 1742년 하원 투표에서 패배한 후 사임한 로버트 월폴 경의 사임은 사실상 최초의 불신임 투표로 간주된다.

19세기 초, 로버트 필과 같은 총리들이 의회 다수당의 지지 없이 통치하려는 시도는 실패했고, 19세기 중반까지는 불신임 투표가 영국에서 정부를 무너뜨리는 확실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영국에서는 1925년 이후 1979년 캘러헌 내각 불신임 투표에서 제임스 캘러헌 총리가 단 한 번 불신임 투표로 패배했다.

3. 의원내각제에서의 불신임 투표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불신임 투표는 정부의 존립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하원에서 불신임안이 가결되면, 정부는 총사퇴하거나 의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해야 한다.

많은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신임 투표를 얼마나 자주 실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3개월 또는 6개월에 한 번만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 때로는 정부가 자당의 반대파 의원들이 반대표를 던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체 법안 중 하나를 "신임 투표"로 선언하기도 한다.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서는 정부 예산이 항상 신임 투표로 간주된다. 불신임 투표의 효과를 지닌 투표가 반드시 그렇게 제출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법률은 신임 문제로 처리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정부의 다수 의석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입법 또는 절차적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유럽 연합(EU)에서는 유럽 의회에 유럽 집행위원회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 제출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81]

국가별로 불신임 투표의 요건, 절차, 효과 등이 다양하게 규정되어 있다.


  • 독일에서는 하원(독일 연방의회)에 연방수상에 대한 불신임 결의권이 인정된다.[82] 불신임 결의의 대상은 연방수상이며, 독일 연방공화국 기본법 제67조(1)에 따라, 과반수로 후임 수상을 선출한 후에 불신임을 할 수 있다. 이를 건설적 불신임 투표라고 한다.[84]
  • 프랑스에서는 하원(국민의회)에 정부에 대한 불신임 결의권이 인정된다.[82] 프랑스 제5공화제는 이원집정부제 형태로, 하원은 총리가 이끄는 정부에 대해 불신임 결의안을 통해 책임을 추궁하며, 불신임 결의안이 채택되면 총리는 대통령에게 사표를 제출해야 한다.[82]
  • 영국에서는 하원(영국 하원)에 내각 불신임 결의권이 인정된다.[82] 하원의 불신임안 표결에서 정부가 패배한 경우, 헌법 관례상 내각은 총사퇴하거나 하원을 해산하도록 국왕에게 건의해야 한다.[82]

3.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하원에서 불신임안은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통과된다. 하원은 15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든 의원이 출석할 경우 76표의 찬성이 필요하다.[1] 단순 불신임 투표 외에도 정부를 규탄하는 안건이나 수정안도 불신임 투표로 간주될 수 있다.[1]

오스트레일리아 상원에서도 불신임안이 통과될 수 있지만, 하원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 그러나 상원의 예산 거부권은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위기를 촉발하는 데 일조했다.

정부에 대한 불신임안은 하원에서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지만, 정부는 하원에서 다른 안건에 대한 패배 이후 8차례에 걸쳐 사임하거나 해산을 권고했다.[1] 하원에서 패배한 후 정부가 사임한 마지막 사례는 1941년 10월로, 당시 하원은 아서 패든의 소수 정부 예산안을 부결했다.

규탄과 같은 특정 불신임안이나 총리, 장관, 야당 대표, 상원의원 및 정당 대표에 대한 불신임안은 일부 경우 성공한 적이 있다.

3. 2.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국회(Jatiya Sangsad)에는 불신임 결의안을 제출할 규정이 없다. 이는 방글라데시 헌법 제70조에 따라 국회의원이 자신이 속한 정당에 반하는 투표를 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어, 현직 정부의 해임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3. 3.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연방 하원 또는 주 의회에서 불신임 동의안이 통과되면 정부는 신임을 잃게 된다. 명시적인 불신임 동의안 외에도 예산안, 예산 정책 관련 동의안, 즉위 연설에 대한 답변 연설 등도 묵시적인 신임 동의안으로 간주된다. 불신임 투표가 통과되면 총리는 사임하거나 총독에게 의회 해산 및 총선 실시를 요청해야 한다.[17]

3. 4. 체코

체코 헌법은 정부가 하원에 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부는 언제든지 하원에 신임 투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정부가 제안한 법안에 대한 투표를 신임 투표와 연결할 수도 있다.[86] 하원은 최소 50명 의원의 서면 요청으로 정부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시작할 수 있다.[86] 대통령은 총리를 임명하고, 총리의 제안에 따라 각료도 임명한다.[86] 내각은 임명 후 30일 이내에 하원의 신임을 얻어야 하며, 신임을 얻지 못하면 새로운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86]

3. 5. 덴마크

덴마크 헌법은 의회가 불신임 투표를 통과시키면 장관은 직무에 남아 있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불신임 투표에는 단순 다수결이 필요하다.[1]

3. 6. 독일

독일에서는 건설적 불신임 투표 제도를 채택하여, 연방총리에 대한 불신임 투표와 동시에 연방대통령이 임명할 후임 총리 후보를 제시해야 한다.[21] 이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의 정치적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당시에는 후임자가 의회의 충분한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총리가 해임되는 경우가 잦았다. 영국식 시스템과 달리, 총리는 의회 야당이 아닌 자신이 불신임 투표를 제기했을 때 투표 결과에 따라 사임할 필요는 없지만, 대통령에게 총선을 요청할 수 있고 대통령은 이를 수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독일 하원(독일 연방의회)은 연방수상(연방총리)에 대한 불신임 결의권을 가진다.[82] 불신임 결의는 연방수상만을 대상으로 하며, 내각 전체나 개별 장관에 대한 불신임 결의 제도는 채택되지 않았다.[83]

독일 연방공화국 기본법 제67조(1)에 따르면, 연방수상에 대한 불신임은 과반수의 찬성으로 후임 수상을 선출한 후에 이루어져야 하며, 연방대통령에게 연방수상의 파면을 요구해야 한다. 이를 건설적 불신임 제도라고 한다.[82][84]

3. 7. 그리스

그리스 의회는 의결을 통해 정부 또는 정부 구성원에 대한 불신임을 표명할 수 있다. 불신임안은 국회의원 6분의 1 이상의 서명이 있어야 하며, 전체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가결된다. 불신임안은 국회가 이전 불신임안을 부결한 지 6개월 후에야 제출할 수 있으며, 논의될 쟁점을 명확하게 명시해야 한다.[22]

3. 8. 인도

인도에서는 인도 국회의 하원인 로크사바에서만 불신임안이 제출될 수 있으며, 최소 50명의 로크사바 의원이 지지할 경우 로크사바 의장이 허가를 내릴 수 있다.[23] 안건이 통과되면 국회는 토론을 거쳐 표결에 부친다.[23] 다수의 의원이 찬성표를 던지면 안건이 가결되고, 모든 장관은 도의적 책임으로 사퇴해야 한다.

J. B. 크리팔라니는 1963년 8월, 중일전쟁 직후 자와할랄 네루 총리 정부에 대해 로크사바에서 최초의 불신임안을 제출했다.[24][25] 2023년 8월 현재 총 31건의 불신임안이 제출되었다.[27][28] 역대 총리별 불신임안 제출 횟수는 다음과 같다.



아탈 비하리 바즈파이 총리는 1999년 4월 불신임안 표결에서 1표 차이(269대 270)로 패배했다.[26] 모라르지 데사이 총리는 1979년 7월 12일 불신임 투표에서 패배한 후 사임했고, V. P. 싱과 H. D. 데브 고우다도 불신임안으로 실각했다.[26] 가장 최근의 두 건의 불신임안은 2018년과 2023년 나렌드라 모디 정부를 상대로 제출되었으나, 모두 로크사바에서 부결되었다.[27][28]

당적 이탈 방지법 이후에도 여당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정부에 찬성하도록 의원들에게 의원총회를 통해 투표를 지시할 수 있는 경우에도, 여당이 3분의 1 이상 붕괴하면 불신임안으로 정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29]

3. 9. 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는 총리 또는 아일랜드 정부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다일 에이렌에서 가결되면, 총리는 대통령에게 다일 해산 및 총선 실시를 요청할 수 있다.[30] 대통령이 이 요청을 승인할지는 대통령의 재량에 달려 있지만, 지금까지 어떤 대통령도 해산 요청을 거부한 적은 없다.[31] 대통령이 다일 해산을 거부할 경우, 총리와 정부는 사퇴해야 한다.[30]

아일랜드에서는 대통령의 권한은 대부분 의례적인 것이지만, 법안의 헌법합치성 심사를 대법원에 요구하는 경우와 총리로부터 하원 해산 요구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재량권이 인정된다.[86] 하원으로부터 불신임을 받은 총리는 대통령에게 하원 해산을 요구할 수 있지만, 대통령은 이를 거부할 수 있으며, 거부된 경우 총리는 즉시 사임해야 하며 하원에서 새 총리가 선출된다.[86]

3. 10. 이스라엘

이스라엘 기본법 제28조와 크네셋 의사규칙 제44조에 불신임 투표가 명시되어 있다.[32]

3. 11. 이탈리아

이탈리아[33]에서는 정부가 의회 양원의 지지를 모두 받아야 한다. 정부 구성 후 10일 이내에 신임 투표를 통과해야 한다. 의회는 불신임 투표를 통해 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 어느 한쪽의 1/10 의원이 제안에 서명하면 불신임 투표를 제안할 수 있으며, 지정된 날짜 3일 전에 투표를 논의할 수 있다.

이탈리아 헌법 제정 이후, 의회는 내각 전체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통과시킨 적이 없다. 정부 위기는 대개 의회 다수의 지지를 더 이상 받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된 총리가 불신임 투표에 부쳐지기 전이나 심지어 제안되기 전에 사임하는 것으로 종결되었기 때문이다.[34] 이 절차가 사용된 유일한 경우는 1995년 10월로, 당시 사법부 장관 필리포 만쿠소가 자신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상원을 통과한 후 사임해야 했다. 이후 1996년 헌법재판소의 판결[35]은 내각 전체가 아닌 개별 장관에 대해 개별 불신임 투표를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만쿠소에 대한 투표는 합법적이었다고 선언했다.

1995년 사법부 장관 필리포 만쿠소에 대한 불신임 투표 요약[36]
정당득표수%
style = "background-color:#00ff00;"|찬성17394.02
style = "background-color:#ff0000;"|반대31.63
style="background-color:#eeeeee;"|기권84.34


3. 12. 일본

일본 헌법 제69조는 "중의원이 불신임 결의안을 통과시키거나 신임 결의안을 부결하는 경우, 내각은 10일 이내에 중의원이 해산되지 않는 한 총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81]

3. 13.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의 연방 정치 체제에서 주 의회의 신임 투표로 인해 네 번의 주지사가 해임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2020년 파이잘 아주무 페락 주 정부가 해임된 사례이다.[37] 2020년-2022년 말레이시아 정치 위기 동안 야당 의원들은 무히딘 야신 총리에 대한 신임 투표를 요구했지만,[38] 그는 투표가 이루어지기 전에 사임했다.[39]

3. 14. 파키스탄

파키스탄 헌법은 선거단의 모든 구성원에 대한 불신임 투표 조항을 규정하고 있다. 불신임 투표는 주 및 국회 의장과 부의장, 총리, 수석장관(주), 상원 의장과 부의장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40] 의장 또는 부의장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제외하면, 선출된 의원의 최소 20%의 지지를 받아야 의회 본회의에서 투표에 부쳐진다. 의장 또는 부의장에 대한 불신임 투표는 최소 지지율 요건이 없다. 불신임 투표는 과반수로 통과되어야만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된다.[41]

역사적으로 불신임 절차는 주로 의장과 부의장을 해임하는 데 사용되었다. 불신임 투표가 제기된 11건 중 9건이 해당 직책을 대상으로 했으며, 그중 4건이 성공적이었다.[41][42] 총리에 대한 불신임 투표는 매우 드물다. 1989년 11월 베나지르 부토(Benazir Bhutto)는 굴람 무스타파 자토이(Ghulam Mustafa Jatoi)가 제기한 불신임 투표에 직면했지만 실패했다.[43] 주 수석장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유일한 사례는 2018년 1월 발루치스탄 수석장관 사나울라 제리(Sanaullah Zehri)에 대한 불신임 투표였으나, 투표가 진행되기 전에 사임했다.[44]

1947년 독립 이후, 임란 칸(Imran Khan)만이 2022년 불신임 투표를 통해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 야당이 주도한 이전 시도는 부의장 카심 수리(Qasim Suri)가 헌법 제5조를 사용하여 기각했다. 이후 칸 총리가 아리프 알비(Arif Alvi) 대통령에게 해산을 건의했고, 알비 대통령이 국회를 해산하여 헌법 위기를 야기했다.[45] 2022년 4월 7일, 파키스탄 대법원(Supreme Court of Pakistan)은 불신임 투표 기각, 국회 휴회, 칸의 알비 대통령에 대한 국회 해산 권고 및 그에 따른 국회 해산이 헌법 위반이라고 판결하고 이러한 조치들을 무효화했다.[46] 2022년 4월 10일, 소집된 국회는 172표의 과반수 득표로 칸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통과시켜 불신임 투표를 통해 최초로 성공적인 축출을 이뤄냈다.[47][48]

3. 15. 페루

페루에서는 입법부와 행정부 모두 상대편의 재직 중인 법률 구성원에 대해 불신임안을 제출할 권한을 갖고 있다.[49] 내각 의장은 국회에 어떤 장관에 대해서든 불신임안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는 국회의원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통과된다. 대통령은 국회가 두 차례 내각에 대해 불신임 또는 불신임 결의를 한 경우 국회를 해산할 수 있다. 관련 조항인 132~134조는 1993년 개정 페루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

2019년 페루 헌법 위기 동안 마르틴 비스카라 대통령은 2019년 5월 29일, 부정부패 방지 관련 제안에 대해 국회가 협조를 거부할 경우 국회에 대한 불신임안을 발의하는 헌법적 절차를 시행했다. 페드로 카스티요 또한 2022년 입법부 해산을 시도하면서 국회에 대한 이러한 메커니즘을 사용하려고 했다. 카스티요 대통령 재임 당시 국회가 임명한 페루 헌법재판소는 불신임안이 제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권한은 국회에만 있다고 판결했다.[50]

3. 16. 폴란드

폴란드 헌법은 정부가 하원(세임)에 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다.[51] 폴란드는 '건설적 불신임 투표' 제도를 채택하여, 불신임안 가결과 동시에 새로운 총리를 선출해야 한다.[54] 개별 장관에 대한 불신임 투표도 가능하다.[55]

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임 투표는 최소 46명의 의원이 요청하고, 마지막 안건이 부결된 지 최소 3개월 후에야 제기될 수 있다. 단, 최소 115명의 의원이 요청하는 안건에는 예외가 적용된다. 세임은 개별 장관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통과시킬 수 있는데, 이 안건은 최소 69명의 의원이 요청할 경우 제기될 수 있으며, 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임 투표와 같은 투표 절차가 적용된다.[54]

3. 17.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회의 국민의회 의원은 내각(대통령 제외) 또는 대통령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출할 수 있다. 의장은 의회 규칙에 따라 이러한 안건을 회의 일정에 추가하고 우선 순위를 부여해야 한다.[56] 연례 회기의 마지막 회의일에 불신임안을 상정할 수 없는 경우, 다음 회기의 의사일정 첫 번째 안건이 되어야 한다.[56]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대통령은 하원에서 의원들에 의해 선출된다. 하원이 대통령을 제외한 내각 불신임을 의결할 경우 내각을 개조해야 하며, 하원이 대통령에 대해 불신임을 의결할 경우 대통령은 각료들과 함께 사퇴해야 한다.[87] 하원이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할 수 없는 경우 해산된다.[87]

3. 18. 스페인

1978년 스페인 헌법은 의원의 10분의 1이 불신임 투표를 제안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독일 모델을 따르는 스페인의 불신임 투표는 건설적이므로, 투표에는 총리직을 대신할 후보자도 포함되어야 한다. 불신임 투표가 성공하려면 하원의 절대 다수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투표는 제안 후 최소 5일이 지나야 진행될 수 있으며, 다른 정당은 투표 제안 후 이틀 이내에 대안 투표를 제출할 수 있다.[58][59]

또한, 불신임 투표가 진행 중일 때 총리는 코르테스 헤네랄레스를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할 수 없다. 투표가 성공하면 현직 총리는 사퇴해야 한다. 헌법에 따르면 투표에서 지명된 대체 후보자는 자동적으로 하원의 신임을 얻은 것으로 간주되며, 군주에 의해 즉시 총리로 임명된다. 투표가 실패하면, 제안자들은 같은 회기 동안 또 다른 투표를 제출할 수 없다.[58][59]

2018년 6월 1일, 불신임 투표에서 패배한 마리아노 라호이(오른쪽) 전 총리가 페드로 산체스(왼쪽) 신임 총리를 축하하고 있다.


현직 총리인 페드로 산체스는 2018년 6월 1일 마리아노 라호이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가결된 후 2018년 6월 2일에 취임했다.[60]

3. 19. 싱가포르

싱가포르 헌법에 따라 싱가포르 총리는 비선출 의원(NCMP)과 임명 의원(NMP)을 제외한 의회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61]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 독립 선언 이후, 싱가포르 정부는 불신임안을 제출받은 적이 없다. 그러나 독립 이전인 1961년, 1962년, 1963년에 리콴유 총리는 세 번의 불신임안을 제출받았다.

1960년대에는 집권당인 인민행동당(PAP)이 리콴유가 이끄는 우익과 림친시옹이 이끄는 좌익으로 분열되었다. 이로 인해 인민행동당의 압도적인 다수당 지위가 약화되었다. 리콴유는 1961년 홍림 및 앤슨 보궐선거에서 인민행동당이 패배한 후 1961년 7월 20일에 첫 번째 신임 투표를 받았다. 이 안건은 총리 자신이 제출한 신임안이었다. 51명의 입법회 의원 전원이 출석하여 투표에 참여했고, 27대 8로 투표에서 승리했다.[61] 기권한 16명 중에는 13명의 좌파 인민행동당 의원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투표 후 인민행동당에서 제명되어 사회주의 전선을 결성했다.

1962년 7월 13일, 사회주의 전선 의원인 리시우초는 리콴유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출했다. 3명의 의원이 불참하여 입법회의 총 의원 수는 48명이 되었다. 총리는 24대 16으로 투표에서 승리하여 계속해서 직무를 수행했다.[62]

리시우초는 싱가포르의 말레이시아 연방 합병 제안과 관련된 문제로 1963년 6월 15일 리콴유 정부에 대한 또 다른 불신임안을 제출했다. 5명의 의원이 불참하고 1석이 공석이 되어 총 의원 수는 45명이 되었다. 이번에는 리콴유 정부가 23대 16으로 투표에서 승리했다.[63]

1963년 9월, 입법회가 해산되고 새로운 선거가 치러졌다. 잔여 인민행동당은 3분의 2의 다수 의석을 얻어 사회주의 전선이 추가적인 불신임안을 제출하는 것을 막았다. 합병과 분리(1963년-1965년) 이후, 사회주의 전선의 의회 보이콧으로 인해 인민행동당이 의회의 주요 정당이 되었고, 불신임안은 매우 드물게 되었으며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리콴유의 1961년 신임안은 싱가포르 총리가 자신의 정부에 대한 신임안을 제출한 유일한 사례로 남아 있다.

연도제출자결과
1961년리콴유가결 (27:8)
1962년리시우초부결 (16:24)
1963년리시우초부결 (16:23)


3. 20. 스웨덴

스웨덴에서는 총리 또는 개별 장관에 대해 불신임안이 제기될 수 있다. 불신임안 제출에는 의회 의원(MPs) 최소 35명의 지지가 필요하며, 통과되려면 의회 의원 과반수(175명)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64]

불신임 투표에서 장관이 패하면 해당 장관은 사임해야 한다. 총리가 불신임 투표에서 패하면 내각 전체가 사임해야 한다.[64] 의장은 퇴임한 총리가 의회에서 새로운 총리를 선출할 때까지 과도 정부 또는 임시 정부를 이끌도록 허용할 수 있다.

소극적 의회주의 원칙에 따라, 의장이 지명한 총리 후보는 선출되기 위해 의회 의원 과반수의 신임을 얻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의회 의원 과반수가 후보에 반대 투표해서는 안 되며, 이는 총리 투표를 불신임 투표와 유사하게 만든다. 즉, 총리 후보가 의회 투표에서 성공하려면 찬성 또는 기권표를 합쳐 최소 175표를 얻어야 한다. 의장이 네 번 연속으로 후보를 선출하지 못하면 최종 투표 후 3개월 이내에 선거를 실시해야 한다.

3. 21. 영국

전통적으로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서 예산안(돈을 쓰는 것에 관한)의 부결은 정부가 사퇴하거나 새로운 선거를 요청해야 함을 자동적으로 의미했는데, 이는 불신임 투표와 매우 유사하다.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하에서 돈을 쓸 수 없는 정부는 무력해지는데, 이를 예산 부족이라고도 한다.[65]

영국 의회에서 불신임 결의안은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조기 발의안으로 제기되었지만, 즉위 연설에 대한 투표 또한 신임 투표였다. 그러나 2011년부터 2022년까지는 2011년 고정 임기 의회법에 따라 "본원은 폐하의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명시적으로 결의하는 결의안만이 불신임 결의안으로 간주되었다. 2022년 2011년 고정 임기 의회법은 2022년 의회 해산 및 소집 법에 의해 폐지되었다.[65]

영국에서는 하원(영국 하원)에 내각 불신임 결의권이 인정된다. 하원의 불신임안(신임안·이에 필적하는 중요 법안)의 표결에서 정부가 패배한 경우, 헌법 관례상 내각은 총사퇴하거나 하원을 해산하도록 국왕에게 건의해야 한다.[82]

4. 이원집정부제에서의 불신임 투표

의원내각제와 유사하게, 이원집정부제에서도 의회는 불신임 결의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원집정부제에서 불신임 결의는 내각과 총리만을 해임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의회는 행정부나 사법부 공직자에 대한 탄핵 권한도 가진다.

4. 1. 프랑스

프랑스에서 국민의회는 불신임안으로 정부를 무너뜨릴 수 있는데, 그 조건은 프랑스 헌법 제49조 2항과 3항에 명시되어 있다.

  • 자발적 불신임안 ('''제49조 2항'''):
  • 국회의원 58명(총 의원 수의 10분의 1)의 발의가 필요하다.[67]
  • 제출 후 48시간 이상 경과 후 토론 및 투표를 실시한다.
  • 국민의회 의원 과반수(일반적으로 577명 중 289명)의 찬성이 있어야 통과된다.
  • 국회의원은 정기 국회 회기당 최대 3건, 임시 국회 회기당 최대 1건의 자발적 불신임안을 발의할 수 있다.
  • 정부가 표결 없이 법안을 통과시키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불신임안 ('''제49조 3항'''):
  • 제출 및 통과 조건은 제49조 2항에 명시된 조건과 동일하다.
  • 국회의원의 발의 건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두 경우 모두 불신임안이 가결되면 총리는 대통령에게 사임을 제출해야 한다. 특히 제49조 3항의 규정에 따라 정부가 표결 없이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에 대한 불신임안이 제출된 경우, 불신임안이 가결되면 내각이 책임을 진 법안은 부결되고 정부는 붕괴된다.

1958년 제5공화국 출범 이후 두 건의 불신임안이 가결되었다.

  • 1962년에는 퐁피두 정부에 대해 헌법 개정 분쟁을 둘러싼 제49조 2항에 따른 자발적 불신임안이 제출되었다. 국회는 1962년 10월 5일 280표(당시 필요한 과반수는 241표)로 불신임안을 가결했다. 드골 대통령은 퐁피두 총리의 사임을 거부하고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여 정부에 대한 지지를 확대했다.
  • 바르니에 정부에 대한 제49조 3항에 따른 불신임안은 2024년 12월 4일 331표(필요 과반수 288표)로 가결되었다.[66] 헌법에 따라 바르니에 총리는 12월 5일에 사임했고, 총리가 특별한 헌법 권한을 행사했던 2025년 사회보장 예산 법안은 표결 없이 부결되었다.


제3공화국 시대에는 상원과 하원 의원 모두 간단한 질의와 투표로 정부의 사임을 강요할 수 있어 불안정이 초래되었다. 제4공화국에서는 질의를 대체하기 위해 가결에 필요한 의원 과반수 찬성을 얻어야 하는 불신임안을 도입하고 상원의 발의권을 제거했으나, 불안정은 계속되었다.[67]

4. 2. 러시아

러시아에서는 연방 의회의 하원인 국가 두마가 단순 과반수(450석 중 최소 226표)로 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임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문제는 러시아 대통령에게 회부되며, 대통령은 언제든지 자유재량으로 내각을 해산할 수 있지만, 두마의 결정을 무시할 수도 있다. 만약 두마가 3개월 이내에 같은 내각 구성에 대해 두 번째 불신임안을 통과시키면, 대통령은 정부를 해산할지 또는 두마를 해산하고 총선거를 실시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 두마가 1년 미만 전에 선출되었거나, 이미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를 시작하여 탄핵 소추를 제기했거나, 대통령 선거까지 6개월 미만이 남았거나, 러시아 전역에 계엄령 또는 비상사태가 선포된 경우에는 이러한 이유로 두마를 해산할 수 없다. 위에서 언급한 경우에는 대통령은 정부를 해산해야 한다.

4. 3. 스리랑카

스리랑카 의회는 스리랑카 정부에 대한 불신임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정부는 실각하고 스리랑카 대통령은 새로운 총리를 임명하여 새로운 정부를 구성해야 한다.

5. 대통령제와 불신임 제도

강력한 삼권분립을 가진 대통령제에서는 일반적으로 불신임안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탄핵을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사용한다.[70]

5. 1. 미국

미국 하원에서 의장 사퇴 결의안은 하원 의장을 해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방 차원에서 최초로 성공한 이러한 결의안은 2023년 10월 케빈 매카시 해임이며, 당시 사건을 보도한 언론 보도에서 비공식적으로 "불신임 투표"라고 불렸다.[70]

의장 해임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웨스트민스터 의회 시스템의 불신임 투표 효과와 비교할 수 없다. 정부 수반인 대통령에게는 영향이 없으며, 내각이나 개별 행정직에 변화가 없다(입법부와는 분립되어 있음). 해임된 의장은 의회 의석을 유지하므로 하원의 당파적 정렬에도 변화가 없다. 또한 의회 선거는 헌법에 따라 2년마다 정해져 있으므로, 의장 사퇴 결의안이 통과된 후 즉시 새 선거가 치러지지 않는다. 불신임 투표가 종종 그렇듯이 하원 전체를 해산할 방법도 없다. 따라서 웨스트민스터 불신임 투표와 비교할 수 있는 의장 해임의 가장 의미있는 결과는 입법 우선순위의 변화 가능성이다. 미국 하원에서는 의장이,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서는 총리가 입법 우선순위를 크게 설정하기 때문이다.

대통령과 내각 구성원은 하원의 탄핵과 상원의 유죄 판결을 통해 해임되고 직무 수행 자격이 박탈될 수 있지만, 탄핵은 범죄의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는 불신임 투표로 간주되지 않는다.

미국 헌법 수정 조항 25조 4항은 미국 대통령에 대한 불신임 투표의 틀을 제공하는데, 대통령의 직무 수행 능력 상실 시 사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직무 수행 불능의 어떤 사례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모호하게 규정되어 있다.[71] 초기 결의안은 부통령과 대통령 내각의 과반수에 의해 발의되며, 그 시점부터 대통령은 직무에서 정지되고 부통령이 권한대행 대통령이 된다. 만약 대통령이 이 결의안에 이의를 제기하면, 두 번째 불신임 결의안이 발의되어야 하며, 두 번째 결의안 이후 3주 이내에 하원과 상원의 3분의 2의 승인을 받아야만 영구적으로 적용된다.[72] 1967년에 원래 비준된 25조 수정 조항은 현재까지 발동된 적이 없다.

6. 대한민국 국회의 해임 건의

대한민국 헌법 제63조에 따라 국회는 국무총리 또는 국무위원에 대한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해임 건의안은 재적 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와 재적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된다. 대통령은 해임 건의에 대해 반드시 따라야 할 의무는 없지만, 정치적 부담을 갖게 된다.

참조

[1] 서적 House of Representatives Practice Parliament of Australia 2016-07-15
[2] 웹사이트 The Confidence Convention https://www.ourcommo[...] Parliament of Canada 2019-09-04
[3] 웹사이트 Address in reply to the Speech from the Throne https://www.ourcommo[...] Parliament of Canada 2019-09-04
[4] 웹사이트 The Confidence Convention https://www.ourcommo[...] Parliament of Canada 2019-09-04
[5] 뉴스 Taking down the government, how a confidence vote works in Canada https://globalnews.c[...] Corus Entertainment Inc. 2017-06-30
[6] 뉴스 Feeling confidence about the budget vote?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7-11
[7] 간행물 Journals 1968-12-20
[8] 간행물 Journals 1985-06-27
[9] 웹사이트 Standing Orders – Chapter 1 https://www.ourcommo[...]
[10] 웹사이트 Backbench MLAs threaten to vote out N.W.T. Premier, cabinet https://www.cbc.ca/n[...] 2009-02-06
[11] 뉴스 N.W.T.'s Health, Infrastructure ministers survive non-confidence votes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8-10-31
[1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zech Republic https://en.wikisourc[...] 2024-09-16
[1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zech Republic https://en.wikisourc[...] 2024-09-16
[1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zech Republic https://en.wikisourc[...] 2024-09-16
[1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zech Republic https://en.wikisourc[...] 2024-09-16
[1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zech Republic https://en.wikisourc[...] 2024-09-16
[1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al Act of Denmark https://www.thedanis[...] 2017-03-07
[18] 웹사이트 Mistillidsvotum https://www.ft.dk/da[...] 2017-01-11
[19] 웹사이트 mistillidsdagsorden https://denstoredans[...] 2013-12-16
[20] 웹사이트 THE EUROPEAN PARLIAMENT: POWERS https://www.europarl[...]
[21] 웹사이트 German Constitution Official English Translation Article 67 – Vote of No Confidence https://www.btg-best[...]
[22] 웹사이트 Σύνταγμα https://www.hellenic[...] 2019-11-28
[23] 웹사이트 Parliament of India, Lok Sabha http://164.100.47.19[...] 2022-06-17
[24] 웹사이트 Procedure regarding motion of no-confidence 9 December 2013 http://parliamentofi[...]
[25] 뉴스 Rules of confidence http://www.indianexp[...] 2013-12-09
[26] 웹사이트 When NDA's first PM Atal Bihari Vajpayee lost no-confidence motion by 1 vote https://www.hindusta[...] 2018-07-20
[27] 웹사이트 No-confidence motion against NDA govt rejected. Day's highlights https://www.livemint[...] 2021-07-31
[28] 웹사이트 Government defeats no-confidence motion in a voice vote https://www.livemint[...] 2023-08-10
[29] 논문 Threatening Indian democratic system: Case of Anti-Defection Law http://roundtableind[...] 2017-06-01
[3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reland http://www.irishstat[...] 2020-03-11
[3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reland https://www.irishsta[...] Irish Statute Book 1937-07-01
[32] 웹사이트 Motion of No-Confidence in the Government https://m.knesset.go[...]
[3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Italian Republic https://www.senato.i[...] 2022-02-17
[34] 웹사이트 Le mozioni di sfiducia o censura a singoli ministri http://bpr.camera.it[...] 2022-08-30
[35] 웹사이트 Sentenza n. 7 del 1996 http://www.giurcost.[...] giurcost.org 2015-01-03
[36] 웹사이트 Far dimettere il ministro Piantedosi è davvero molto difficile https://pagellapolit[...] 2023-03-09
[37] 웹사이트 Faizal is fourth chief executive to fail confidence vote https://www.malaysia[...] Malaysiakini 2020-12-04
[38] 웹사이트 Facing calls to quit, Malaysia's prime minister says he will prove his legitimacy in parliament https://www.cnbc.com[...] CNBC 2021-08-04
[39] 웹사이트 Muhyiddin Yassin appointed Malaysian caretaker PM after resignation is accepted by the king https://www.channeln[...] 2022-04-12
[40] 웹사이트 Part III: The Federation of Pakistan: Chapter 3: The Federal Government http://www.pakistani[...]
[41] 웹사이트 Three speakers removed by opposition in past https://www.thenews.[...] 2010-12-19
[42] 웹사이트 BA passes no-confidence motion against Aslam Bhootani https://www.dawn.com[...] 2012-12-26
[43] 뉴스 Bhutto Survives as No-Confidence Vote Falls Short https://www.nytimes.[...] 1989-11-02
[44] 웹사이트 Balochistan CM Zehri quits to avoid no-trust vote https://tribune.com.[...] 2018-01-09
[45] 웹사이트 Pakistan court to decide PM Imran Khan's fate https://www.bbc.com/[...] 2022-04-04
[46] 뉴스 Pakistan court rules blocking vote to oust Khan unconstitutional https://www.aljazeer[...] 2022-04-05
[47] 웹사이트 Imran Khan becomes first PM to be ousted via no-trust vote http://tribune.com.p[...] 2022-04-09
[48] 웹사이트 Live updates: NA votes out PM Imran Khan in a historic first for Pakistan https://www.thenews.[...] 2022-04-09
[49] 웹사이트 Peru's Constitution of 1993 https://www.constitu[...] 2022-02-16
[50] 웹사이트 El Tribunal Constitucional altera el equilibrio de poderes con sus decisiones https://larepublica.[...] 2023-07-30
[5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Poland https://en.wikisourc[...] 2024-09-16
[5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Poland https://en.wikisourc[...] 2024-09-16
[5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Poland https://en.wikisourc[...] 2024-09-16
[5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Poland https://en.wikisourc[...] 2024-09-16
[5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Poland https://en.wikisourc[...] 2024-09-16
[56] 웹사이트 Rules of the National Assembly https://www.parliame[...] 2020-06-11
[57] 뉴스 BREAKING: Zuma survives vote of no confidence http://www.news24.co[...] 2017-08-08
[58] 뉴스 Qué hace falta para que la moción de censura a Rajoy salga adelante https://www.eldiario[...] 2018-05-25
[59] 웹사이트 The Spanish Constitution https://www.boe.es/l[...] 2018-05-25
[60] 웹사이트 Mariano Rajoy: Spanish PM forced out of office https://www.bbc.com/[...] 2018-06-01
[61] 웹사이트 Motion of Confidence https://sprs.parl.go[...]
[62] 웹사이트 Motion of No Confidence https://sprs.parl.go[...]
[63] 웹사이트 Motion of No Confidence https://sprs.parl.go[...]
[64] 웹사이트 Examines the work of the Government http://riksdagen.se/[...] 2023-05-08
[65]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Factsheet M7: Parliamentary Elections http://www.parliamen[...] House of Commons Information office 2011-03-23
[66] 웹사이트 France's Prime Minister Loses No-Confidence Vote and Is Expected to Resign https://www.nytimes.[...] 2024-12-04
[67] 서적 Mémentos LMD Principes fondamentaux de droit constitutionnel Gualino Éditeurs 2016
[68] 서적 Histoire de France sous la direction de Jean Favier, Tome 6, Notre Siècle Fayard 1988
[69] 서적 La Constitution Points 2016
[70] 웹사이트 House ousts Kevin McCarthy as speaker, a first in U.S. history https://www.cnbc.com[...] 2023-10-03
[71] 서적 The Twenty-Fif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 Reader's Guide https://law.yale.edu[...]
[72] 법률 United States Constitution, Amendment XXV, Section 4
[73] 웹사이트 Vote of no confidence: a brief history https://www.historye[...] Immediate Media Company Limited 2019-09-24
[74] 웹사이트 En quoi consiste la procédure de destitution du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 https://www.vie-publ[...] 2022-07-27
[75] 뉴스 Ukraine Government Survives No-Confidence Vote https://online.wsj.c[...] 2013-12-03
[76] 뉴스 Mariano Rajoy: Spanish PM forced out of office https://www.bbc.com/[...] 2018-06-01
[77] 뉴스 Mariano Rajoy ousted as Spain's prime minister https://www.theguard[...] 2018-06-01
[78] 뉴스 Swedish prime minister ousted after losing confidence vote https://www.theguard[...] 2018-09-25
[79] 웹사이트 Pakistan PM Imran Khan loses no-confidence vote https://www.dw.com/e[...] 2022-04-09
[80] 웹사이트 First ever Successful Vote of No-Confidence in Parliamentary History in 41st Session of 15th National Assembly https://pildat.org/p[...] 2022-04-27
[81] 웹사이트 EU機関の仕組み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1-06-16
[82] 웹사이트 主要国の政治行政機構-議院内閣制に関する参考資料(1)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1-06-16
[83] 논문 ドイツ宰相の権限行使と大臣・内閣との関係 近畿大学
[84] 웹사이트 ドイツ連邦共和国基本法第67条 https://www.gesetze-[...] 連邦司法省
[85] 웹사이트 議会のあり方・長と議会の関係について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1-06-16
[86] 논문 半大統領制の定義について 高岡法科大学
[87] 웹사이트 調査と情報―ISSUE BRIEF―「井田敦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21-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